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OECD 국가 중 최저수준이라는 뉴스가 연일 나오고 있습니다.
출산율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요
오늘은 그 중에서 2022년 확대 시행되는 임신과 출산 과련 지원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첫 번째, 국민행복카드 -> 바우처 신청
21년 : 단태아 60만원, 다태아 100만원(사용기간 출산일 이후 1년)
(임산부 : 임신출산 관련 진료비 약제, 치료재료 구입비 사용 가능)
(영유아 : 1세 미만 영유아의 진료비 및 약제, 치료재료 구입비)
22년 : 단태아 100만원, 다태아 140만원(사용기간 출산일 이후 2년)
(임산부 : 모든 진료비 약제, 치료재료 구입비 사용 가능
(영유아 : 2세 미만 영유아의 진료비 및 약제, 치료재료 구입비)
두 번째, 영아수당 확대 -> 주민센터, 복지로에서 신청
21년 : 0~12개월 20만원 13~25개월 15만원(단, 어린이집을 다니지 않을 경우만 지급)
22년 : 0~23개월 매달 30만원 지급(어린이집 이용여부 상관없음)
세 번째, 보건소 혜택
임신 관련 용품 : 임산부 등록하면 엽산제, 철분제, 임산부 뱃지, 임산부 주차스티커, 모자수첩
- 방문하거나 인터넷에서 "맘편한 임신' 검색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(택배비 자부담)
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| 원스톱 서비스 | 똑똑한 서비스 | 정부서비스 | 정부24
더 많은 서비스 보기
www.gov.kr
- 맘편한 ktx : 일반실 가격으로 특실이용 가능(임산부외 1명까지 출산예정일부터 1년간 이용가능)
검사 : 임신주수에 따라 검사 서비스
8주~16주(초기검사) : 산전검사(혈액형, CBC, 간염, 매독, 에이즈, 풍진, 간기능검사, 소변검사) -> 등록 후 실시
16주~20주 : 기형아(쿼드검사) : 에드워드증후군, 다운증후군, 신경관결손검사, 초음파 1회 실시 -> 전화예약 후 방문
24주~28주(중기검사) : CBC검사, 임신성당뇨검사 -> 임신성당뇨검사(9시~10시30분, 1시~4시가능) *금요일 또는 다음날이 휴일인 경우 오전만 검사 가능
32주~40주(말기검사) : CBC, 간기능검사
기타 서비스
1.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: 1년간 48만원 상당의 친환경 농산물을 80%할인된 가격에 구입가능
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쇼핑몰
현재 접속 사용자가 많아 대기중이며, 잠시만 기다리시면 자동 접속됩니다.
www.ecoemall.com
2. 전기요금 할인 : 출산가구(1명이상)에 한해서 36개월까지 전기요금 30% 할인(한국전력공사 123번)
3. 자동차보험료 할인 : 보험사마다 영유아 할인제도를 활용
출산지원금은 2022년 200만원이 정부에서 지원된다고 합니다. 이렇게 지원받은 출산장려금은 산후조리원 등에 많이 사용되는데 최고 1년까지 사용할 수 있다고